티스토리 뷰

반응형

은행들의 만행

 

'방카슈랑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은행에 가면 방카슈랑스라고 하여, 은행 직원이 보험과 펀드 등 다양한 상품을 상담해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2006년 이후부터 한국의 주식시장의 상승으로 시중은행들이 펀드 판매에 집중한 적이 있다. 그러나 2008년 말부터 글로벌 금융위기로 주식 가격의 대폭락 현상이 일어나자 투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어 은행의 펀드 판매는 급감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 은행들이 방카슈랑스라는 것을 통해서 '복리' 상품이라며 홍보하는 '저축형 보험'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판매를 하기 시작하였다. 주식과 부동산 가격이 대폭락 한 상태에서 안전한 자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런 심리 상태를 교묘하게 이용한 은행들의 복리 만행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복리를 이해할 때 72법칙을 알아야한다.

 

재테크를 하는 사람들 중에서 '복리'의 개념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72법칙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우리는 복리에 장점으로 72법칙을 이야기하는데  72법칙이란 복리수익률로 원금의 2배를 모을 수 있는 기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계산은 72 / 복리 연 수익률 = 기간으로 구할 수 있다. 만일 복리 수익이 연 8%라고 한다면, 원금의 2배가 되기 위한 시간은 9년이 걸린다. 만일 5년에 걸쳐서 내가 가지고 있는 목돈을 2배로 만들고 싶다면 계산은 '72 / 기간 = 복리 연 수익률' 이기 때문에 72 / 5 = 14.4%가 된다.

장기간으로 복리투자를 하게 되면 분명히 큰 메트리가 있는 것을 틀림이 없다. 그러나 복리 투자를 할 수 있더라도 우리가 놓치는 부분이 있다. 첫 번째로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화폐가치 하락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72법칙에 의해서 연 7.2%의 복리수익률이라면 1억이 2억으로 되는 시간은 10년이다. 그러나 10년 후에 2억 원은 현재의 2억과 같은 가치라고 볼 수 없는데, 자본주의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은 필연적으로 함께 가야 하는 현상이다. 결국엔 돈의 가치는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하락하기 마련인데, 연간 물가 상승률을 3%로 가정해보면 10년 후에 2억이라는 돈의 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약 1억 4800만 원이 된다. 이것을 다시 연 수익률로 환산하게 되면 연평균 약 4.9%가 되는 것이다. 결국엔 연 복리 수익률 7.2%가 물가상승을 고려한다면 실질 가치 수익률은 4.9%가 된다는 뜻이다.

가끔씩 티브이를 돌리다 보면, 홈쇼핑에서 저축성보험에 대한 홍보를 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가만히 앉아서 보고 있자면 참 놀라운 소리를 연달아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만약에 매월 30만 원을 연 5%의 복리 이자로 20년 동안 저축하게 되면 약 1억 2000만 원이 넘는 금액을 받을 수 있다고 광고를 한다. 여기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은 저렇게 좋은 상품이 있다니? 라며 가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금융에 대해서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한 푼도 쓰지 않고 원금을 그대로 모았을 때 7200만 원이지만, 매년 5%의 복리이자를 적용하게 되면 1억 2000만 원으로 약 5000만 원 정도의 이자가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저 놀라운 상품이 아닐 수 없다.

 
 

'물가상승'은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0년 후의 1억 2000만 원의 가치를 매년 3%의 물가 상승률로 감안한다면 결국 현재 가치로 6800만 원 정도밖에는 안 되는 것이다. 20년 동안 매월 납입하는 30만 원도 시간이 갈수록 물가상승률만큼 화폐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20년 동안 매월 30만 원을 납입할 경우 원금 7200만 원도 현재가치로는 5516만 원이 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화폐가치 기준으로 계산하였을 때 누적 수익률은 24%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것을 연 단위로 환산하게 되면 1.2%에 불과하다. 명목적으로 1억 2000만 원이 지금은 크게 보일 수밖에 없지만, 년마다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20년 후 가치는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물가상승률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국가지표체계 사이트를 참고하면 지금까지 연평균 얼마나 물가가 상승했는지 참고할 수 있다.

[국가지표체계 참고]

 

 

반응형